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환급신청

by info_world_news 2024. 6. 28.
반응형

 

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

청년은 매월 7000원씩 매달 할인가능하고  6월까지 썼던 요금도 환급받을 수 있어요.

 

신청 안하면 환급받을 수 없어요. 꼭 신청하세 환급 받아가세요. 

 



 ⬇️ 청년이라면 환급 신청하세요 ⬇️

 

 

 

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환급신청

 

 

 

환급 대상

  • 연령: 만 19~39세 (1984년 1월 1일 ~ 2005년 12월 31일 출생자)
  • 거주지 제한 없음

 

환급 요건

  • 2024년 2월 26일(월) ~ 6월 30일(일) 사이에 기후동행카드를 사용 시작하여 30일간 만기 사용한 경우
  • 단, 6월 27일(목) ~ 7월 1일(월) 오전 4시 전에 충전하여 7월 1일(월) ~ 7월 5일(금) 사이에 사용 시작한 카드도 포함됩니다.

 

  • 티머니카드&페이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카드 등록 필수
  • 사용 기간 중 카드 삭제, 정지, 환불(고장, 분실, 도난, 단순 변심 등) 시 환급 대상 제외

 

 

 

환급 혜택:

  • 환급 금액: 사용 기간 1회당 7,000원, 최대 5회(35,000원) 환급 가능
    • 예시: 만기 사용 3번 → 21,000원 환급 (7,000원 x 3회)
  • 환급 방법: 신청 시 입력한 본인 명의 국내 계좌로 입금

 

환급 신청 방법:

  • 신청 기간: 2024년 7월 2일(화) 오전 10시 ~ 8월 5일(월) 오후 4시

📌 이후 추가 신청 불가합니다.

 

  • 신청 방법:
    1. 티머니카드&페이 홈페이지 방문
    2. '티머니 서비스' → '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' → '청년 할인 사후 환급 신청' 클릭
    3. 정보 입력 후 신청
    4. 모바일/실물카드 모두 동일한 절차

 

 

환급 입금 일정:

  • 2024년 8월 26일(월) ~ 8월 30일(금)
  • 신청 순서대로 입금되며, 완료 시 개별 알림톡 발송

 

 

유의 사항:

  • 신청 시 입력한 계좌 정보가 정확한지 반드시 확인해주세요.
  • 티머니카드&페이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 및 카드 등록이 되어있지 않으면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 

간단하게 요약하자면, 만 19~39세 청년들이 기후동행카드를 일정 기간 사용하면 최대 35,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티머니카드&페이 홈페이지에서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하면 됩니다.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

 

 

 

 

7월 기후동행카드 변경내역

기후동행카드는 7월 1일부터 본사업을 시작해요. 그 전까지도 했지만 조금 더 똑똑해졌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

 

기존에는 따릉이 포함 여부에 따라 62,000원 또는 65,000원을 선택해야 했지만, 이제는 1일부터 7일간 사용할 수 있는 단기권도 선택할 수 있답니다.

 

 

 

단기권은 외국인 관광객과 서울 방문객을 위해 마련되었고, 1일권은 5,000원, 2일권은 8,000원, 3일권은 10,000원, 5일권은 15,000원, 7일권은 20,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문화시설 할인 혜택

7월부터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서울대공원과 서울식물원을 50% 할인된 금액으로 입장할 수 있어요.

가족뮤지컬 '페인터즈'도 20% 할인된 가격으로 볼 수 있답니다.

 

 

기존에 할인 적용 중인 서울과학관, 국립발레단, 빛의시어터, 롯데월드 아쿠아리움, 서울스카이 할인 혜택도 계속 유지된답니다.

 

 

 

그 외 혜택과 정보

  • 7월부터 유료로 변경되는 청와대 노선 자율주행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요.
  • 11월에는 체크·신용카드 결제 기능이 결합된 후불 기후동행카드가 나올 예정이에요.
  • 10월에는 한강 최초의 수상교통수단인 '한강 리버버스'에서 월 3천 원 추가하면 무제한으로 탈 수 있어요.
  •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역도 김포골드라인을 시작으로 고양시 등으로 확대되고 있답니다.

 

 

 

관련글 더보기

 

기후동행 가능노선 살펴보기

 


 

기후동행카드 VS 케이패스 비교

 

 

 

반응형